神聖의 끝, 人性의 시작 - 63

2013. 4. 18. 07:51논설

 

 3. 지방신地方神

 

  신神의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완전이념이 기본 동인動因이라는 사실은 앞서 말한 바가 있다. 완전이념과 결합되었던 장로 숭배 사상의 결과물인 씨족신氏族神의 개념은 여타 신神들의 개념과 다르게 발전한 까닭에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씨족신은 여러 씨족의 연합에 의해 부족신部族神으로 바뀌고, 부족신은 다른 부족과의 통합을 통해 등장한 국가의 형태와 영역에 따라 지방신地方神으로 변하고, 지방신은 특출한 종교인의 열정과 융합해 문명신文明神으로 전이傳異되었으므로 지방신과 문명신의 개념과 양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집트인들은 원래 태양신을 숭배했다. 이후 정치·사회적 변동과 사상의 변화에 따라 태양신이 인격신으로 바뀌었으나 여전히 태양의 속성과 조건을 탈피하지 못했다. 그들이 신봉했던 최초의 신神 호어Hor는 빛과 광명의 표상으로 이집트 전역을 관장하는 유일신維一神이었다. 이집트를 다스리는 최고의 통치자는『호어의 숭배자』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집트 왕조가 남·북으로 나누어지자 태양신 라Ra가 북北 이집트의 주재신이 되고, 아몬Amon은 남南 이집트의 주재신이 되었다. 남·북 이집트가 통일되자 두 주재신은 아몬-라Amon-ra 라는 하나의 신神으로 다시 결합되었다. 아몬-라는 이후 오시리스Osiris라는 인격신으로 교체되어 생성, 발육 등 풍요와 생산력의 관장자이며, 미래와 정의를 표현하며 인간의 도덕성과 영원, 운명을 결정하는 심판자이기도 했으나 여신女神 이시스Isis와 결합해 문명의 개척자가 되어 윤리와 종교적 관념의 중심으로 신앙의 중추가 되었다.

  인도인은 예로부터 수많은 신神 가운데 천상신天上神과 공중신空中神, 지상신地上神을선택해 최고의 주재신으로 숭배했다. 천상신 바루나Baruna는 모든 인간의 생활을 포용하는 지배자, 도덕과 윤리를 관장하며 죄인을 벌하고, 잘못을 뉘우치는 자를 용서하며 창조자 태양신 미트라Mitra와 결합해 윤리적 질서의 주재자가 되었고, 공중신 인드라In-dra는 만유萬有의 통제자로 비, 우뢰, 번개를 사용하므로 때로는 위엄의 신神이 되고 혹은 자비慈悲의 신神도 되었으며, 자상신 프리티바Pritiba는 만물을 양육하는 대지와 어머니의 신神이 되었다. 이후 이 삼계三界의 신神은 모두 만유萬有의 주재자인 프라자파티Prajapati에게 자신들의 자리를 물려주고 프라자파티는 비인격적인 자연신 브라흐마Brahma에게, 브라흐마는 다시 인격신 크리슈나Krishuna로 계승되어 자비慈悲의 주재자로 모든 인도인의 신앙의 중심이 되었다.